Skip to content
Skip to content

함수 더 알아보기

객체로서의 함수

이전에도 언급했듯이, 함수는 Function 생성자로부터 생성되는 객체입니다. 다만, 다른 객체들과는 다르게 호출할 수 있다(callable)는 특징이 있습니다.

함수 객체는 두 가지 유용한 속성을 갖고 있습니다.

  • length - 함수의 매개변수의 개수를 반환합니다.
  • name - 함수의 이름을 반환합니다.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console.log(add.length); // 2
console.log(add.name); // add

name 속성의 값은 다양한 조건에 의해 결정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MDN 문서를 참고하세요.

주인 없는 this

this는 생성자 혹은 메소드에서 객체를 가리킬 때 사용하는 키워드입니다. 하지만, 생성자나 메소드가 아닌 함수에서 this 키워드를 사용한다고 해서 에러가 나지는 않습니다.1

function printThis() {
console.log(this);
}
printThis(); // Window { ... }

위 예제에서 this전역 객체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예전 버전(ES5 미만)의 JavaScript에는 여러 가지 좋지 않은 부분들이 있는데, this가 전역 객체를 가리키는 성질은 이들 중 가장 대표적인 것입니다. 이런 이상한 동작 방식 때문에, 프로그래머의 작은 실수로 인해 큰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
// `new`를 빠트린 채 생성자를 호출하면, `this`는 전역 객체를 가리키게 됩니다!
Person('john');
// 의도치 않게 전역 객체의 속성이 변경되었습니다.
console.log(window.name); // john

엄격 모드 (Strict Mode)

다행히, 위와 같은 실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JavaScript에는 엄격 모드(strict mode)라는 것이 있습니다. 엄격 모드에서는 JavaScript 언어의 동작 방식이 미묘하게 바뀌는데, 예전 버전 JavaScript의 특징으로 인해 프로그래머가 실수하기 쉬운 몇 가지 문법에 대해 제약사항을 추가합니다. 예를 들어, 엄격 모드에서는 위와 같이 this를 사용했을 때, 전역 객체 대신 undefined를 반환합니다.

엄격 모드를 활성화하려면 .js 파일 또는 함수의 가장 위에 'use strict';와 같이 문자열을 써 주면 됩니다. 파일 위에서 엄격 모드를 선언하면 해당 파일 전체가 엄격 모드로 동작하고, 함수 위에서 선언한다면 해당 함수만 엄격 모드로 동작합니다.

function Person(name) {
// 엄격 모드를 활성화합니다.
'use strict';
// `undefined`의 속성을 변경하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에러가 납니다.
this.name = name;
}
Person('john'); // TypeError: Cannot set property 'name' of undefined

이처럼 엄격 모드는 프로그래머의 실수를 미연에 방지해주기 때문에, 항상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면 엄격 모드를 사용하기 위해 매번 'use strict';를 직접 써주어야 할까요? 다행히도 그렇지는 않습니다.

ES2015 모듈을 이용해 작성된 코드는 항상 엄격 모드로 동작하기 때문에, 함수 위에 'use strict';를 붙여주지 않아도 엄격 모드로 동작합니다. 요즈음 만들어지는 클라이언트 측 JavaScript 코드는 대부분 Babel과 TypeScript같은 트랜스파일러를 통해 ES2015 모듈 방식으로 작성되기 때문에, 이런 도구를 사용하고 있다면 본인이 작성하는 코드가 항상 엄격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고 생각해도 무방합니다.

엄격 모드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다면 MDN 문서를 참고하세요.

this 바꿔치기

앞에서 봤던 것처럼, this는 때에 따라 다른 값을 가리킵니다. 심지어는 우리가 원하는 값을 가리키게 만들 수도 있는데, 함수 객체의 bind, call, apply 메소드를 사용하면 됩니다.

함수 객체의 bind 메소드를 호출하면, 메소드의 인수로 넘겨준 값이 this가 되는 새로운 함수를 반환합니다.

function printGrade(grade) {
console.log(`${this.name} 님의 점수는 ${grade}점입니다.`);
}
const student = {name: 'Mary'};
const printGradeForMary = printGrade.bind(student);
printGradeForMary(100); // Mary 님의 점수는 100점입니다.

call 혹은 apply 메소드를 사용하면, 새로운 함수를 만들지 않고도 임시적으로 this를 바꿔버릴 수 있습니다. callapply는 인수를 넘겨주는 형식에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기능은 동일합니다.

function printGrade(grade) {
console.log(`${this.name} 님의 점수는 ${grade}점입니다.`);
}
const student = {name: 'Mary'};
printGrade.call(student, 100); // Mary 님의 점수는 100점입니다.
printGrade.apply(student, [100]); // Mary 님의 점수는 100점입니다.

arguments와 나머지 매개변수 (Rest Parameters)

function 구문을 통해 생성된 함수가 호출될 때는, arguments라는 변수가 함수 내부에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arguments는 유사 배열 객체(array-like object)이자 반복 가능한 객체(iterable object)로, 함수에 주어진 인수가 순서대로 저장되기 때문에 인덱스를 가지고 인수를 읽어오거나 for...of를 통해 순회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add(x, y) {
// `arguments[0]`에는 `x`와 같은 값이, `arguments[1]`에는 `y`와 같은 값이 저장됩니다.
console.log(arguments[0], arguments[1]);
return x + y;
}
add(1, 2); // 1 2

arguments는 ES2015 이전까지 인수의 개수에 제한이 없는 함수를 정의하는 데에 사용되고는 했습니다.

function sum() {
let result = 0;
for (let item of arguments) {
result += item;
}
return result;
}
sum(1, 2, 3, 4); // 10

하지만, ES2015에서 도입된 나머지 매개변수(rest parameters) 문법을 통해 똑같은 기능을 더 깔끔한 문법으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arguments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기능이 되었습니다.

function sum(...ns) {
let result = 0;
for (let item of ns) {
result += item;
}
return result;
}
sum(1, 2, 3, 4); // 10

위의 예제와 같이, 매개변수 앞에 ...을 붙여주면, 해당 매개변수에 모든 인수가 저장됩니다. arguments와는 달리 나머지 매개변수는 실제 배열이기 때문에, 배열의 메소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sum(...ns) {
// `for...of` 루프 대신에 `reduce` 메소드를 사용해서 합계를 구할 수 있습니다.
return ns.reduce((acc, item) => acc + item, 0);
}
sum(1, 2, 3, 4); // 10

단, ... 문법은 마지막 매개변수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printGrades(name, ...grades) {
console.log(`${name} 학생의 점수는 ${grades.join(', ')} 입니다.`);
}
printGrades('Mary', 96, 78, 68); // Mary 학생의 점수는 96, 78, 68 입니다.

아래와 같이 마지막 매개변수가 아닌 매개변수에 ... 문법을 사용하려고 하면 에러가 납니다.

function printGrades(...grades, name) {
console.log(`${name} 학생의 점수는 ${grades.join(',')} 입니다.`);
}
// SyntaxError: Rest parameter must be last formal parameter

사실 arguments 객체는 더 많은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만, 여기에서 소개하지 않은 기능은 '주인 없는 this'와 함께 예전 버전 JavaScript의 좋지 않은 부분 중 하나이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도 어떤 기능이 있는지 궁금하시다면 MDN 문서를 참고하세요.

화살표 함수 (Arrow Function)

화살표 함수(arrow function)는 ES2015에서 도입된 새로운 유형의 함수입니다. 화살표 함수는 (매개변수 목록) => {함수 내용}과 같은 문법을 통해 정의할 수 있습니다.

const add = (x, y) => {
return x + y;
}
const negate = (x) => {
return !x;
}

다만,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화살표 함수는 조금 더 간결한 문법으로 정의할 수도 있습니다.

  • 만약 화살표 함수의 매개변수가 하나라면, 괄호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 만약 화살표 함수의 내부가 하나의 구문으로 이루어졌다면, 중괄호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이 구문의 결과값이 곧 함수의 반환값이 됩니다.

이 성질을 이용해 위 코드를 더 짧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const add = (x, y) => x + y;
const negate = x => !x;

function 구문으로 정의되는 함수와 비교했을 때, 화살표 함수는 문법 측면에서만 다른 것이 아니라 특별한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 화살표 함수는 생성자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prototype 속성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스스로의 new.target을 가지지 않습니다.
  • 화살표 함수는 스스로의 this, arguments, super를 가지지 않습니다.2
  • 화살표 함수 내부에서 yield 키워드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즉, 제너레이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3

여기서 스스로의 this를 가지지 않는다는 말은 함수 내부에서 this를 사용할 수 없다는 말이 아닙니다. 화살표 함수 내부에서 this를 사용하면, 그 this는 함수가 정의된 스코프에 존재하는 this를 가리킵니다. 이는 new.target, arguments, super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this.getName = () => {
// 여기에서 사용된 `this`는 '함수가 정의된 스코프', 즉 'Person 함수 스코프'에 존재하는 `this`를 가리키게 됩니다.
return this.name;
}
}
const mary = new Person('mary');
mary.getName(); // 'mary'

이런 성질 때문에, 화살표 함수 내부에 있는 this는 엄격 모드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주의!
// 화살표 함수는 생성자로 사용될 수 없지만,
// 위 '엄격 모드' 파트에 있는 예제와 비슷하게 보이기 위해서
// 함수의 이름을 대문자로 시작하도록 했습니다.
const Person = (name) => {
'use strict';
this.name = name;
}
Person('mary');
console.log(window.name); // mary

화살표 함수를 통해 this를 다룰 때 주의해야 할 점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겠습니다.

화살표 함수는 스스로의 this를 갖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이 때문에, 화살표 함수에 대해 bind, call, apply 메소드를 호출해도 아무런 효과가 없습니다.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this.getName = () => {
// 여기에서 사용된 `this`는 '함수가 정의된 스코프',
// 즉 'Person 함수 스코프'에 존재하는 `this`를 가리키게 됩니다.
return this.name;
}
}
const mary = new Person('mary');
// `this`를 바꿔보려고 해도, 아무런 효과가 없습니다.
mary.getName.call({name: 'john'}); // 'mary'

그리고, 화살표 함수 내부에서 this를 사용하면 함수가 정의된 스코프에 있는 this를 가리킨다고 했습니다. 즉, 화살표 함수 내부의 this화살표 함수가 정의된 문맥에 의해 결정됩니다. function 구문으로 정의된 함수에서 쓰이는 this어떻게 호출되는지에 의해 결정되는 것과는 다른 동작 방식을 보입니다.

const mary = {
name: 'mary',
getName: () => {
return this.name;
}
};
// 위의 화살표 함수는 전역 스코프에서 정의되었기 때문에, `this`는 전역 객체를 가리킵니다.
// `mary`의 메소드로 사용된다고 해도, 이 사실이 변하지 않습니다.
// 브라우저 환경의 전역 객체인 `window`는 `name`이라는 속성에 빈 문자열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 값이 대신 반환됩니다.
mary.getName(); // ''

이처럼, 객체의 속성 값에 메소드를 직접 정의할 때에는 화살표 함수를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그러면 어떨 때 화살표 함수를 사용하는 게 좋을까요? 화살표 함수의 편리함은 함수를 다른 함수의 인수로 넘겨야 할 때 발휘됩니다. 함수를 받아서 호출하는 쪽에서 어떻게 호출하든, this 때문에 문제가 생길 일이 없습니다. 화살표 함수의 this는 '어떻게 정의되었는지'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죠!

아래 코드를 실행해보시고, getName 메소드를 일반적인 함수(function () { ...)로 바꾸어서 결과가 어떻게 나오는지 관찰해보세요.

function Person(name) {
this.name = name;
this.getName = () => {
return this.name;
}
}
const mary = new Person('mary');
function printResult(func) {
console.log(func());
}
// 화살표 함수로 정의된 메소드는 다른 함수의 인수로 넘겨도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printResult(mary.getName);

정리하겠습니다. function 구문으로 생성되는 함수가 단순한 함수 이외에 생성자나 제너레이터 등의 여러 기능까지 떠맡고 있는 반면에, 화살표 함수는 오직 함수 혹은 메소드로 사용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그리고 어떻게 호출되더라도 this가 변하지 않고 문법이 간결하기 때문에, 함수를 값으로 다루어야 하는 경우 (특히 함수를 다른 함수의 인수로 넘겨야 하는 경우) 에는 화살표 함수가 일반 함수보다 편리한 경우가 많습니다.

매개변수의 기본값 (Default Parameter)

앞에서 보았던 Array.prototype.slice 메소드는 인수를 주었을 때나 주지 않았을 때나 모두 잘 동작합니다.

const arr = [1, 2, 3, 4, 5];
arr.slice(); // [1, 2, 3, 4, 5]
arr.slice(2); // [3, 4, 5]
arr.slice(2, 3); // [3]

이런 함수는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요? 먼저 매개변수가 있는 함수에 아무런 인수도 주지 않았을 때 어떻게 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 인수를 그대로 반환하는 함수(identity function)입니다.
const ident = x => x;
ident(); // undefined

위와 같이, 함수 호출 시에 인수를 주지 않으면 매개변수에는 undefined가 대입됩니다. 이 사실을 이용해, 인수가 주어지지 않았을 때는 대신 미리 설정된 값을 사용하는 함수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hello(name) {
// 매개변수는 `var` 변수와 같은 성질을 갖기 때문에, 재대입을 할 수 있습니다.
if (name === undefined) {
name = 'Mary';
}
console.log(`Hello, ${name}!`);
}
hello('John'); // Hello, John!
hello(); // Hello, Mary!
hello(undefined); // Hello, Mary!

JavaScript 세계에서 위와 같은 기법이 너무 많이 사용되었던 관계로, 이를 쉽게 만들어주는 문법이 ES2015에서 도입되었습니다. 이 문법을 매개변수의 기본값(default parameter)이라고 부릅니다. 이를 이용해서 위의 예제와 완전히 같은 일을 하는 함수를 아래와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 'Mary'가 `name` 매개변수의 기본값이 됩니다.
function hello(name = 'Mary') {
// 코드가 훨신 더 깔끔해졌습니다!
console.log(`Hello, ${name}!`);
}
hello('John'); // Hello, John!
hello(); // Hello, Mary!
hello(undefined); // Hello, Mary!

  1. repl.it을 통해 이 코드를 실행시키면 에러가 납니다. 이것은 repl.it의 동작 방식 때문에 브라우저 보안정책에 따른 에러가 난 것입니다. 대신 브라우저의 개발자 콘솔을 열어서 그곳에서 코드를 실행시켜보세요.
  2. super클래스와 OOP 챕터에서 자세히 다룹니다.
  3. 제너레이터는 Iteration 챕터에서 자세히 다룹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