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kip to content

제어 구문

이제까지 나온 코드 예제들은 아주 단순한 계산과 입출력을 하는 프로그램이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사용되는 프로그램들은 복잡한 논리 구조를 갖고 있고, 그를 통해 프로그램의 여러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는 것입니다. 이 챕터에서는 프로그램의 논리 구조를 표현할 수 있는 조건문과 반복문, 그리고 그 밖에 프로그램의 논리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구문들을 살펴볼 것입니다.

조건문 (Conditional Statement)

우리가 실제로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은 수많은 '경우의 수'을 다루고 있습니다.

  • 사용자가 스프레드시트의 셀을 클릭했을 때, 만약 그것이 왼쪽 클릭이면 해당 셀을 선택하고, 왼쪽 더블이면 해당 셀을 편집 모드로 전환하고, 오른쪽 클릭이면 메뉴를 보여준다.
  • 사용자가 더블 클릭한 물약이 만약 빨강 물약이면 HP를 채우고, 파랑 물약이면 MP를 채운다.
  • 사용자가 전송 버튼을 클릭했을 때, 만약 입력 필드가 모두 채워져 있지 않으면 에러 메시지를 보여주고, 입력 필드가 모두 채워져 있으면 서버로 입력 필드의 내용을 전송한다.

이렇게 경우에 따라 프로그램의 동작이 달라야 할 때, 우리는 조건문(conditional statement)을 통해 프로그램의 논리 구조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if...else 구문

if...else 구문을 사용하면 조건에 따라 특정 영역의 코드를 실행시키거나 실행시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아래의 예제를 통해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function roll() {
return Math.ceil(Math.random() * 6);
}
function game() {
const result = roll();
alert(`결과: ${result}`);
// if...else 구문
if (result >= 4) {
// 괄호 안의 조건을 만족하면, 즉 결과값이 true 이면
// 이 영역의 코드가 실행된다.
alert('당신이 이겼습니다!');
} else {
// 위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즉 결과값이 false 이면
// 대신 이 영역의 코드가 실행된다.
alert('당신이 졌습니다.');
}
}
game();

위 코드를 직접 실행해보세요.

else가 필요 없는 경우에는 else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if (result === 6) {
alert('당신은 운이 좋군요!');
}

중괄호(curly brace) 내부에 들어있는 구문이 하나라면, 중괄호를 생략해 줄 수도 있습니다.

if (result === 6) alert('당신은 운이 좋군요!');

if...else 구문의 중첩

만약 세 개 이상의 경우의 수를 if...else를 통해 표현하려면, if...else중첩시키면 됩니다.

주사위를 굴려 3 또는 4가 나오면 비긴 것으로 게임을 고쳐보겠습니다.

function roll() {
return Math.ceil(Math.random() * 6);
}
function game() {
const result = roll();
alert(`결과: ${result}`);
if (result >= 5) {
alert('당신이 이겼습니다!');
} else {
// 중첩된 if...else 구문
if (result >= 3) {
alert('비겼습니다.');
} else {
alert('당신이 졌습니다.');
}
}
}
game();

위와 같이 if...else 구문이 단순히 중첩된 경우라면 바깥쪽 else의 중괄호(curly brace)를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if (result >= 5) {
alert('당신이 이겼습니다!');
} else if (result >= 3) {
alert('비겼습니다.');
} else {
alert('당신이 졌습니다.');
}

코드가 이전보다 훨씬 보기 좋아졌습니다. if...else의 중첩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경우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if...else 구문을 아래와 같이 계속 이어나갈 수 있습니다.

function translateColor(english) {
if (english === 'red') {
return '빨강색';
} else if (english === 'blue') {
return '파랑색';
} else if (english === 'purple' || english === 'violet') {
return '보라색';
} else {
return '일치하는 색깔이 없습니다.';
}
}

switch 구문

바로 위의 예제와 같이 하나의 변수에 대해 많은 경우의 수가 있는 경우, switch 구문을 사용하면 코드를 조금 더 보기 좋게 만들 수 있습니다.

아래 예제는 바로 위의 코드 예제와 완전히 똑같이 동작합니다.

function translateColor(english) {
let result;
switch (english) {
case 'red':
result = '빨강색';
break;
case 'blue':
result = '파랑색';
break;
case 'purple':
result = '보라색';
break;
case 'violet':
result = '보라색';
break;
default:
result = '일치하는 색깔이 없습니다.';
}
return result;
}

switch 구문은 case, break, default라는 키워드와 함께 사용됩니다. switch 바로 뒤의 괄호의 값이 '코드 실행 여부를 판별할 기준이 되는 값'이고, 이 기준이 되는 값과 case 바로 뒤에 오는 값이 일치1하면 콜론(:) 뒤의 코드 영역이 실행됩니다.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default 코드 영역이 대신 실행됩니다.

단, 여기서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case 뒤쪽의 코드 영역 마지막에 break를 써주지 않으면, 해당 case가 실행될 때 바로 뒤의 case 코드 영역이 뒤이어 실행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위 코드 예제에서 case 'blue': 부분의 break를 지우고 코드를 실행해보면 이런 결과가 나옵니다.

translateColor('blue'); // '보라색'

위와 같이 함수를 호출하면 case 'blue': 뒤쪽의 코드 영역이 실행되는데, 이 안에 break를 써주지 않았기 때문에 다음에 나오는 case 'purple': 뒤쪽의 코드 영역이 같이 실행되었습니다.

이처럼 break를 써 주지 않으면 의도치 않은 동작을 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다만 break의 이런 성질을 활용해서 코드를 짧게 쓸 수도 있습니다.

function translateColor(english) {
let result;
switch (english) {
case 'red':
result = '빨강색';
break;
case 'blue':
result = '파랑색';
break;
case 'purple':
case 'violet':
// 이 코드 영역은 english 변수의 값이 'purple'일 때와 'violet'일 때 모두 실행됩니다.
result = '보라색';
break;
default:
result = '일치하는 색깔이 없습니다.';
}
return result;
}

반복문 (Looping Statement)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유사한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해서 해야할 경우가 있습니다.

  • 스프레드시트의 A열에 있는 각 셀의 글자수를 구해서 B열에 집어넣는 작업을 첫 번째 행부터 1000 번째 행까지 반복
  • 바둑의 승리자가 결정될 때까지 번갈아가며 턴을 반복
  • 게시글에 달린 여러 개의 댓글을 보여주는 작업을 각 댓글에 대해 반복

위와 같은 작업을 하기 위해 JavaScript에서는 반복문(looping statement)을 사용합니다. 반복문은 루프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while 구문

while 구문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한 코드를 반복해서 실행시킵니다.

let i = 0; // 초기값
while (i < 5) {
// 위 괄호의 값이 `true`인 동안에는
// 이 안쪽의 코드를 반복해서 실행시킵니다.
console.log(`현재 i의 값: ${i}`);
i++; // 갱신
}
console.log('루프가 종료되었습니다.');

처음에 i의 값이 0이었다가, 코드가 실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면서 결국 i < 5의 값이 false가 되면, while 구문은 더 이상 내부 코드를 실행시키지 않고 실행 흐름을 다음으로 넘깁니다.

do...while 구문

do...while 구문은 while 구문과 사용법은 크게 다르지 않으나, 내부 코드를 무조건 한 번은 실행시킨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do {
console.log('do...while!');
} while (false); // 절대 `true`가 될 수 없지만, 루프는 1회 실행됩니다.

for 구문

위의 while 구문 예제에서 볼 수 있듯이, 루프에는 초기값과 갱신에 대한 코드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for 구문을 이용해 코드를 조금 더 짧게 짤 수 있습니다. 아래 예제는 위 while 구문에 대한 예제와 완전히 똑같이 작동합니다.

// for (초기값 정의; 실행 조건; 갱신) { ... }
for (let i = 0; i < 5; i++) {
console.log(`현재 i의 값: ${i}`);
}
console.log('루프가 종료되었습니다.');

for 구문으로 정의된 루프는 항상 while 구문으로 바꿔쓸 수 있고, 많은 경우 반대로도 바꿀 수 있습니다. 다만 위와 같이 초기값을 정할 수 있고 갱신을 위한 코드가 짧은 경우에는 for 구문을,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while 구문을 사용해야 코드가 깔끔해집니다.

배열의 순회

ES2015가 나오기 이전까지는 for 구문이 배열을 순회하는 데에도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const arr = [1, 2, 3, 4, 5];
for (let i = 0; i < arr.length; i++) {
console.log(`배열의 ${i + 1} 번째 요소는 ${arr[i]} 입니다.`);
}

하지만 근래에는 배열의 forEach 메소드나 for...of 구문이 더 많이 쓰이는 편입니다.

const arr = [1, 2, 3, 4, 5];
arr.forEach((item, index) => {
console.log(`배열의 ${index + 1} 번째 요소는 ${item} 입니다.`);
})
const arr = [1, 2, 3, 4, 5];
for (let item of arr) {
console.log(`현재 요소는 ${item} 입니다.`);
}

for...of 구문에 대해서는 Iterable 챕터에서 자세히 다룹니다.

break, continue

간혹 루프를 도중에 멈추거나, 남은 코드를 건너뛰어버리고 루프의 다음 번 차례로 넘어가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때 사용되는 구문이 breakcontinue 입니다.

alert('퀴즈를 시작합니다.');
while (true) {
const answer = prompt('빨강의 보색은 무엇일까요?');
if (answer === '초록') {
alert('정답입니다! 🎉');
break; // 루프를 종료하고 다음 코드로 넘어감
} else {
alert('틀렸습니다! 다시 시도해보세요.');
}
}
alert('퀴즈가 끝났습니다.');
for (let i = 1; i < 100; i++) {
console.log(`현재 숫자는 ${i} 입니다.`);
if (i % 7 !== 0) {
continue; // 루프의 나머지 코드를 건너뜀
}
console.log(`${i}는 7의 배수입니다.`);
}

함수를 즉시 종료하기

continuebreak가 루프의 나머지 코드를 건너뛰는 효과를 갖는 것과 유사하게, returnthrow는 함수의 나머지 코드를 건너뛰고 함수를 즉시 종료시키는 결과를 낳습니다.

return

return

function translateColor(english) {
switch (english) {
case 'red': return '빨강색';
case 'blue': return '파랑색';
case 'purple':
case 'violet': return '보라색';
default: return '일치하는 색깔이 없습니다.';
}
}

throw

function translateColor(english) {
switch (english) {
case 'red': return '빨강색';
case 'blue': return '파랑색';
case 'purple':
case 'violet': return '보라색';
default: throw new Error('일치하는 색깔이 없습니다.');
}
}

throw 구문은 코드의 실행을 중단시키고 에러를 발생시키는 동작을 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예외 처리 챕터에서 자세히 다룹니다.


  1. 일치 여부는 strict equality, 즉 === 연산자와 같은 방식에 의해 결정됩니다. (명세)